목차
사설 IP
NAT
덤,
CIDR 표기까지 사용했는뎅....
세상에 아뿔싸, 인터넷 IP가 정말로 부족해졌다.
사설 IP
그래서 똑똑이들이 생각했다.
“인터넷에 직접 나갈 필요 없는 기기들은 그냥 집안 주소(사설 주소)만 주면 되지 않냐?”

그렇게 탄생한 것이 사설 IP다.
나갈때만 공인 IP로 나가면 되지, 내부에서는 192.168.x.x든 10.x.x.x든 무슨 상관이람.

NAT
사설IP는 인터넷 대역으로 직접 못 나간다.
그래서 NAT이란 이름의 주소 변환기가 필요한 것이다.

집안의 모든 전자기기들은 사설IP를 부여받고,
나갈때 공유기를 거치며 공인 IP를 부여받는다.
이 공유기가 NAT이다.

덤,
사설 IP는 3개의 대역이 있다.
| 클래스 기반 | CIDR | 범위 |
| A | 10.0.0.0/8 | 10.x.x.x 전부 |
| B | 172.16.0.0/12 | 172.16.0.0 ~ 172.31.255.255 |
| C | 192.168.0.0/16 | 192.168.x.x |
그리고 놀랍게도 현대에는 구분해서 쓰지 않습니다.
과거 개념이고, 지금은 아무 데나 섞어서 써도 됨.

잊어 ^^
'해킹&보안 > 네트워크 공격패킷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네트워크 공격패킷 분석 1-2-1. 패킷이 오가는 방법, IP 헤더: IP 정보 (0) | 2025.11.20 |
|---|---|
| 네트워크 공격패킷 분석 1-1-4. 개념: 포트포워딩(Port Forwarding) (0) | 2025.11.17 |
| 네트워크 공격패킷 분석 1-1-2. 개념: 왜 우리는 /24를 외웠는가 (0) | 2025.11.16 |
| 네트워크 공격패킷 분석 1-1-1. 개념: TCP/IP와 패킷, 패킷분석 (2) | 2025.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