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꽤 졸려요. 요즘 저녁 10시엔 자고.. 새벽 5시 반이면 일어나거든요.
login: trainer6
password: coffee



시키는대로 30초간 사고해보도록 한다...
나중에 이 글을 읽으면 재밌겠지.
아무튼 주인장 계정(admin)이고, 아이디는 root..
x는 참가번호가 없다는 의미가 아닐까? 운영자니까? 아니면 비밀번호가 없거나, 공개되지 않거나.
위치는 메인 홈 디렉토리(/root)에 있음. /bin/bach에서 확인할 수 있음?..
0:0은 모르겠네.


trainer6:x:2006:2006:Trainer 6:/home/trainer6:/home/trainer6/sh

와 30%를 맞췄어요~ 너무 하시네요~
저 복잡해진게 해시함수일까?
그래서 멘토님께 여쭈어보니(이스트소프트 인프라보안 수업), 현행 리눅스 표준은 x로 여전히 표기중이라고 한다!
새로운 단어도 배웠는데, 예전에는 /etc/passwd 에서 크리덴셜을 확보할 수 있었다고 한다.


아.. 그래서 생긴게 shadow구나.. 꽤 현명해요.




비밀번호에 매우 걸맞는 coffee time이었다.

to the top?!
노래 추천합니다.
독기 - 아이언, 가사에 욕이...좀..있습니다.
몇 안되는 좋아하는 노래 중 하나예요. ㅋㅋㅋ
https://youtu.be/ctYkpf1Kntw?si=uTpgeiuOoVjR_xnx
'해킹 > 리눅스: FTZ'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해커스쿨 FTZ trainer8: 파일을 만들고 컴파일하기 (0) | 2025.11.07 |
|---|---|
| 해커스쿨 FTZ trainer7: 리눅스에서 파일 압축 & 해제 (0) | 2025.11.07 |
| 해커스쿨 FTZ trauner5: 정보보기 (0) | 2025.11.06 |
| 해커스쿨 FTZ trainer4: 디렉토리(폴더)와 파일 (0) | 2025.11.06 |
| 해커스쿨 FTZ trainer3: 터미널과 네트워크에 관한 명령들 (0) | 2025.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