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파일 및 디렉터리 관리
1.1. 디렉터리 탐색
- pwd: 현재 작업 중인 디렉터리 경로를 출력
pwd
- ls: 현재 디렉터리의 파일 및 서브디렉터리 목록을 표시
ls # 기본 사용법
ls -l # 상세 정보 표시
ls -a # 숨김 파일 포함 모든 파일 표시
- cd: 디렉터리를 변경
cd /path/to/directory # 특정 경로로 이동
cd .. # 상위 디렉터리로 이동
cd ~ # 홈 디렉터리로 이동
1.2. 파일 및 디렉터리 생성
- mkdir: 새 디렉터리를 생성
mkdir new_directory # new_directory라는 이름의 디렉터리 생성
mkdir -p /path/to/new_directory # 중간 디렉터리도 생성
- touch: 빈 파일을 생성하거나 기존 파일의 수정 시간을 변경
touch filename.txt # filename.txt라는 빈 파일 생성
1.3. 파일 및 디렉터리 삭제
- rm: 파일을 삭제
rm filename.txt # 특정 파일 삭제
rm -r directory # 디렉터리와 그 안의 모든 파일 삭제
- rmdir: 비어 있는 디렉터리만 삭제
rmdir empty_directory # 비어 있는 디렉터리 삭제
1.4. 파일 복사 및 이동
- cp: 파일을 복사합니다.
cp source_file.txt destination_file.txt # 파일 복사
cp -r source_directory /path/to/destination # 디렉터리 복사
- mv: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이동하거나 이름을 변경
mv oldname.txt newname.txt # 파일 이름 변경
mv file.txt /path/to/directory # 파일 이동
1.5. 파일 내용 확인
- cat: 파일의 내용을 출력
cat filename.txt # 파일 내용 출력
- less: 파일 내용을 페이지 단위로 볼 수 있음
less filename.txt # 파일을 페이지 단위로 열기
- head: 파일의 처음 몇 줄을 출력
head filename.txt # 기본적으로 처음 10줄 출력
head -n 5 filename.txt # 처음 5줄 출력
- tail: 파일의 마지막 몇 줄을 출력
tail filename.txt # 기본적으로 마지막 10줄 출력
tail -n 5 filename.txt # 마지막 5줄 출력
2. 시스템 정보 확인
2.1. 시스템 정보
- uname : 시스템 정보를 출력
uname -a # 모든 시스템 정보 출력
- hostname: 시스템의 호스트 이름을 확인
hostname # 현재 호스트 이름 출력
2.2. CPU 정보
- lscpu: CPU 아키텍처 및 정보 출력
lscpu # CPU 정보 출력
2.3. 메모리 정보
- free: 시스템 메모리 사용량을 표시
free -h # 사람이 읽기 쉬운 형식으로 메모리 정보 출력
2.4. 디스크 사용량
- df: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
df -h # 사람이 읽기 쉬운 형식으로 출력
- du: 디렉터리 및 파일의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
du -sh /path/to/directory # 특정 디렉터리의 총 사용량 출력
du -h --max-depth=1 # 현재 디렉터리의 각 하위 디렉터리 사용량 출력
2.5. 프로세스 정보
- top: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실시간으로 표시
top # 실시간 프로세스 모니터링
- ps: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스냅샷을 표시
ps aux # 모든 프로세스 정보 출력
- htop: `top`의 대안, 사용자 친화적 (설치 필요)
ps aux # 모든 프로세스 정보 출력
2.6. 네트워크 정보
- ifconfig: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설정을 확인 (구형 명령어, `ip` 명령어 사용 권장)
ifconfig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정보 출력
- ip: 네트워크 설정을 관리
ip addr show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IP 주소 출력
- ping: 네트워크 연결을 확인
ping google.com # Google 서버에 ping 요청
3. 텍스트 파일 편집
3.1. nano 편집기
- nano: 간단한 텍스트 편집기
nano filename.txt # 파일 열기
- 저장: `Ctrl + O`를 누르고 Enter
- 종료: `Ctrl + X`
- 복사: `Ctrl + K` 복사, `Ctrl + U` 붙여넣기
3.2. vim 편집기
- vim: 텍스트 편집기, 명령 모드와 입력 모드로 나뉨
vim filename.txt # 파일 열기
- 입력 모드 진입: i
- 저장 및 종료: 입력 모드에서 `Esc`를 누르고 `:wq`를 입력 후 Enter
- 종료(저장하지 않음): `:q!`를 입력 후 Enter
- 복사: `v`를 눌러 비주얼 모드로 전환 후 복사할 부분을 선택하고 `y`를 눌러 복사
- 붙여넣기: `p`
3.3. 기타 편집기
- gedit: GNOME 데스크톱 환경에서 사용하는 GUI 기반 텍스트 편집기
- emacs: 강력한 텍스트 편집기이자 개발 환경으로, 복잡한 설정이 가능
'LINUX(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사용자 권한 관리 (0) | 2024.11.26 |
---|---|
리눅스 파일 시스템의 구조 (0) | 2024.11.25 |
리눅스 설치 (1) | 2024.11.24 |
리눅스 소개 (1) | 2024.11.24 |
리눅스 프로그램 목차 (0) | 2024.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