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킹/인프라 보안

보안 관점에서 바라본 OSI 7계층: L1

코드라니(CODERANY) 2025. 11. 12. 22:36

참고도서: 강병탁, 『인프라 보안』, 위키북스

 

네트워크 7계층.

이에 대한 이해없이 보안이나 해킹을 논하면 안된다고 한다. (책에서)

 

네트워크 7계층은 아래와 같다.

OSI Model

L7 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 상위 계층
L6 표현 계층 Presentation layer
L5 세션 계층 Session layer
L4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L3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하위 계층
L2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L1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이번에는  L1, 물리계층의 역할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보고자 한다. 

 

L1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말 그대로 물리계층이다.

전선이고 와이파이고 나발이고 있어야 전기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망치로 부시면 고장나겠지! ^^ 

사실 보안적 측면에서 L1은 중요하지 않다.

전선을 연결해서 "너랑 나랑 신호를 주고 받고 싶다"가 L1이 생긴 이유다.

이거 완전 실전화기 아니냐.

 

여기서 보안은 물리보안인데... 그건 경비팀이 해줄거니까 우리랑 상관없다.

경호든 경비든 뭐든 누가 해주겠지..

 

근데 문제가 발생했다. 사실 L1은 실 전화기가 아니라 광역전화기같은 것이다.

대북확성기마냥 전기 신호가 떠다녔기 때문에 누구나 수신기만 있으면 들을 수 있었다는 말이다...

보안이 작살이 났겠지. 보안이랄게 있었을까;; 

 

그래서 "골라 연락하기(주소지정)" 기술이 생겼다.

 

L2에서 계속...

'해킹 > 인프라 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안 관점에서 바라본 OSI 7계층: L2  (0) 2025.11.12